각 지역별 버스번호는 어떤기준과 어떤방법으로 정해지는걸까?

2025. 4. 1. 07:14뷰티 제품 정보

728x90
반응형
SMALL

지역별 버스번호 체계와 기준

우리나라의 버스번호는 단순한 숫자 조합이 아니라, 노선의 유형, 운행지역, 경유지 등을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부여됩니다.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광역버스, 지선버스, 간선버스 등은 명확한 규칙에 따라 번호가 정해지며, 지역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습니다.

🚌 수도권 버스번호 체계

유형 번호 체계 의미

간선버스 1XX~9XX 도시 중심부와 주요 외곽지역을 연결하는 노선. 첫 자리는 운행 권역(1: 도봉·강북, 7: 강동 등)
지선버스 1XXX~9XXX 지하철역과 주거지를 연결. 첫 자리는 권역, 나머지는 노선 번호
순환버스 0XX 도심 내 순환 운행
광역버스 9XX, 1XXX 수도권 외곽과 서울을 연결. 900번대 및 1000번대 사용
공항버스 6XXX 인천/김포공항과 주요 지역 연결
마을버스 자치구 자체 부여 서울시에서 번호체계 없이 자율 운행

📍지역별 특이사항

  • 경기도는 100~3000번대까지 다양하며, 시외를 오가는 경우 숫자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음
  • 부산은 색상 중심 구분(간선: 파랑, 지선: 초록 등) 후 2~3자리 숫자로 구분
  • 대전, 대구 등 광역시는 도시 자체의 고유 번호 부여 체계 운영 중
  • 마을버스는 지자체 재량으로 번호 부여, 통일된 규칙은 없음

📌 번호 부여 절차

  1. 노선 신설 또는 변경 시, 지방자치단체의 교통과 또는 버스운영센터에서 심사
  2. 노선 유형·출발지·도착지 고려해 적절한 번호 매칭
  3. 중복 여부 검토 후 최종 승인

✨ TIP

버스번호만 봐도 대략적인 운행 지역과 노선 유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147번은 강남권역에서 도심과 외곽을 연결하는 간선버스이며, 7016번은 지선버스로서 7권역(강동 인근)에서 출발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.


버스번호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교통 체계의 설계도입니다. 지역과 목적, 그리고 시민들의 동선을 고려해 체계적으로 정해지며, 도시마다 다른 규칙을 따릅니다.

 

728x90
반응형
LIST